애드센스 Ads.txt 파일 문제 해결하는 방법

구글 애드센스에 등록 된 사이트 목록을 보면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나옵니다.

<해당 사항 없음>은 티스토리와 연결된 계정입니다. 티스토리는 우리가 조치할 수가 없습니다. 대신 워드프레스라면 <찾을 수 없음>으로 나오는 사이트 경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수익 손실 위험이 있다는 이런 경고 문구를 보게 됩니다. 해결하지 않는다고 광고가 나오지 않거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사이트 접속할 때마다 이 경고 문구를 봐야 할 뿐만 아니라 뭔가 수익에 막대한 손해가 있는 것 같은 불안감이 듭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Ads.txt 파일 만들기

만약 경고 문구 안내문에서 <지금 해결하기> -> <ads.txt. 파일 만들기> 순서로 진행된다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 파일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위의 화면처럼 <복사하기>만 나온다면 직접 복사해서 파일로 저장하면 됩니다.

먼저 <복사하기>를 클릭한 후 컴퓨터에 있는 <메모장>을 엽니다. 이곳에 붙여 넣기 하고 저장 파일명을 Ads.txt로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파일을 만들었으니 다양한 방법으로 나의 워드프레스에 저장해보겠습니다.

파일질라를 이용해서 Ads.txt 파일 업로드

워드프레스 사이트와 관련된 파일은, 가입한 웹호스팅 안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파일을 저장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는 웹호스팅에 접속해줘야 합니다.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설치 한 플로그인이 많으면 워드프레스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들끼리 충돌이 일어나 작동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이때 웹호스팅 파일과 내 컴퓨터를 바로 연결하는 방식이 SFTP입니다. 웹호스팅 어플리케이에서 SFTP 계정을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지요. 이를 쉽게 접속하게 해 주는 프로그램로 <파일질라>를 많이 이용합니다.

파일질라를 통해 서버로 접속하는 것은 아직 워드프레스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금은 이 방법은 이렇게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Ad inserter 플러그인 이용하기

Ad inserter은 꼭 설치해야 하는 플로그인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특정 위치에 광고를 넣거나 이미지를 넣을 때 코드 하나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ettings>를 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ADS.TXT>라는 작은 글씨가 보이시지요? 실제 화면에서는 더 작아서 놓치기 쉽습니다. <ADS.TXT>를 선택한 후 아래로 화면을 내리면 코드를 붙여넣기 할 수 있는 곳이 나옵니다.

1번 공간에 코드를 <붙여넣기> 한 후 2번을 체크해서 저장해주세요. 이것으로 끝입니다. 애드센스에 뜨는 경고 문구는 금방 없어지지 않고 며칠 걸립니다.

File manager 플러그인 이용하기

앞에 설명해 드린 파일질라를 통한 웹호스팅 접속이 어렵다면 파일 매니저 플러그인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네모난 디스크 모양을 클릭하시면 파일을 불러오거나 드래그해서 옮겨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SELECT FILES>을 선택해서 파일을 불러오기 해도 직접 파일을 끌어 옮겨도 됩니다. 그러면 바로 파일이 업로드가 됩니다. 간단하지요?

파일 매니저는 이렇게 간단하게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플로그인입니다. 한편으로는 웹호스팅에 쉽게 접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킹에 취약할 수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니 만약 워드프레스를 막 설치해서 계속 웹마스터 등록 등 계속 사용한 후, 별로 이용하지 않게 되면 비활성화 한 후에 삭제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 외에는 <ads.txt manager> 플러그인을 사용한다든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여러 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잘 입력했는데도 한동안 경고문구가 사라지지 않아서 걱정되시지요? 시간이 좀 걸립니다. 만약 승인 신청중이라면 계속 경고문구가 나오다가, 승인 후 1주일 안으로 없어집니다.